부동산을 알아가다/자격증 공부

(연도별) 2021년 32회 공인중개사 시험 공법기출 6번 ~ 10번 문제 및 정답과 해설

늘 푸른 돈나무 2023. 7. 8. 10:25

 

2021년도 32회 공인중개사 자격시험 공법 6번 ~ 10번까지 기출문제 및 정답과 해설입니다.

 

 

공인중개사 공법기출
공인중개사 공법기출

 

 

 

6.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개발행위에 따른 공공시설 등의 귀속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개발행위허가를 받은 행정청이 기존의 공공시설에 대체되는 공공시설을 설치한 경우에는 새로 설치된 공공시설은 그 시설을 관리할 관리청에 무상으로 귀속된다.

 

②개발행위허가를 받은 행정청은 개발행위가 끝나 준공검사를 마친 때에는 해당 시설의 관리청에 공공시설의 종류와 토지의 세목을 통지하여야 한다.

 

③개발행위허가를 받은 자가 행정청이 아닌 경우 개발행위허가를 받은 자가 새로 설치한 공공시설은 그 시설을 관리할 관리청에 무상으로 귀속된다.

 

④개발행위허가를 받은 행정청이 기존의 공공시설에 대체되는 공공시설을 설치한 경우에는 종래의 공공시설은 그 행정청에게 무상으로 귀속된다.

 

⑤개발행위허가를 받은 자가 행정청이 아닌 경우 개발행위로 용도가 폐지되는 공공시설은 개발행위허가를 받은 자에게 무상으로 귀속된다.

 

 

정답: ⑤

--개발행위허가를 받은 자가 행정청인  경우 개발행위로 용도가 폐지되는 공공시설은 개발행위허가를 받은 자에게 무상으로 귀속된다.

 

-- 비행정청인 경우 새로운 시설을 설치한 비용의 범위 내에서 무상 양도할 수 있다.

 

 

 

7.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개발행위에 따른 기반시설의 설치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단, 조례는 고려하지 않음)

 

①시장 또는 군수가 개발밀도관리구역을 변경하는 경우 관할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치지 않아도 된다.

 

②기반시설부담구역의 지정고시일부터 2년이 되는 날까지 기반시설설치계획을 수립하지 아니하면 그 2년이 되는 날에 기반시설부담구역의 지정은 해제된 것으로 본다.

 

③시장 또는 군수는 기반시설설치비용 납부의무자가 지방 자치단체로부터 건축허가를 받은 날부터 3개월 이내에 기반시설설치비용을 부과하여야 한다.

 

④시장 또는 군수는 개발밀도관리구역에서는 해당 용도지역에 적용되는 용적률의 최대한도의 50퍼센트 범위에서 용적률을 강화하여 적용한다.

 

⑤기반시설설치비용 납부의무자는 사용승인 신청 후 7일까지 그 비용을 내야 한다.

 

 

 

정답:④

 

①시장 또는 군수가 개발밀도관리구역을 지정 또는 변경하는 경우 관할 지방도시계획위원회의 심의를 거쳐야 된다.

 

②기반시설부담구역의 지정고시일부터 1년이 되는 날까지 기반시설설치계획을 수립하지 아니하면 그 1년이 되는 날다음날에 기반시설부담구역의 지정은 해제된 것으로 본다.

 

③시장 또는 군수는 기반시설설치비용 납부의무자가 지방 자치단체로부터 건축허가를 받은 날부터 2개월 이내에 기반시설설치비용을 부과하여야 한다.

 

⑤기반시설설치비용 납부의무자는 사용승인 신청 전까지 그 비용을 내야 한다.

 

 

 

8.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성장관리계획구역을 지정할 수 있는 지역이 아닌 것은?

 

①녹지지역      ②관리지역      ③ 주거지역       ④자연환경보전지역         ⑤ 농림지역

 

 

정답: ③ 성장관리계획구역에는 주.상.공은 없다.

 

--성장관리계획구역은 녹지지역, 관리지역, 농림지역 및 자연환경보전지역 중 다음의 어느 하나에 해당하는 지역의 전부 또는 일부에 대하여 지정할 수 있다.

ㄱ. 개발수요가 많아질서한 개발이 진행되고 있거나 진행될 것으로 예상되는 지역

ㄴ. 주변의 토지이용이나 교통여건 변화 등으로 향후 가화가 예상되는 지역

ㄷ. 주변지역과 연계하여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역

ㄹ. 「토지이용규제기본법」에 따른 지역 . 지구 등의 변경으로 토지이용에 대한 행위제한이 완화되는 지역

ㅁ. 난개발의 방지와 체계적인 관리가 필요한 지역으로 대통령령으로 정하는 지역

 

 

 

9.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시가화조정구역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시가화조정구역은 도시지역과 그 주변지역의 무질서한 시가화를 방지하고 계획적 . 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시 . 도지사가 도시 . 군기본계획으로 결정하여 지정하는 용도구역이다.

 

②시가화유보기간은 5년 이상 20년 이내의 기간이다.

 

③시가화유보기간이 끝나면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시 . 도지사는 이를 고시하여야 하고, 시가화조정구역 지정 결정은 그 고시일 다음 날부터 그 효력을 잃는다.

 

④공익상 그 구역 안에서의 사업시행이 불가피한 것으로서 주민의 요청에 의하여 시 .도지사가 시가화조정구역의 지정목적달성에 지장이 없다고 인정한 도시 .군계획사업은 시가화조정구역에서 시행할 수 있다.

 

⑤시가화조정구역에서 입목의 벌채, 조림, 육림 행위는 허가 없이 할 수 있다.

 

 

 

정답: ②

 

①시가화조정구역은 도시지역과 그 주변지역의 무질서한 시가화를 방지하고 계획적 . 단계적인 개발을 도모하기 위하여 시 . 도지사가 도시 . 군관리계획으로 결정하여 지정하는 용도구역이다.

 

③시가화유보기간이 끝나면 국토교통부장관 또는 시 . 도지사는 이를 고시하여야 하고, 시가화조정구역 지정 결정은 그 시가화유보기간이 끝난 날의 다음 날부터 그 효력을 잃는다.

 

④공익상 그 구역 안에서의 사업시행이 불가피한 것으로서 행정기관장이 국토교통부장관에게 요청할  때 시행할 수 있다.

 

⑤시가화조정구역에서 입목의 벌채, 조림, 육림 행위는 허가 없이 할 수 없다.

※시가화조정구역에서는' 허가 없이'가 나오면 무조건 틀린 지문이다.

 

 

 

10. 국토의 계획 및 이용에 관한 법령상 도시 . 군계획시설 사업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①도시 .군계획시설은 기반시설 중 도시 . 군관리계획으로 결정된 시설이다.

 

②도시 . 군계획시설사업이 같은 도의 관할 구역에 속하는 둘 이상의 시 또는 군에 걸쳐 시행되는 경우에는 국토교통부장관이 시행자를 정한다.

 

③한국토지주택공사는 도시 . 군계획시설사업 대상 토지소유자 동의 요건을 갖추지 않아도 도시 . 군계획시설사업의 시행자로 지정을 받을 수 있다.

 

④도시 . 군계획시설사업 실시계획에는 사업의 착수예정일 및 준공예정일도 포함되어야 한다.

 

⑤도시 . 군계획시설사업 시설계획 인가 내용과 다르게 도시 . 군계획시설사업을 하여 토지의 원상회복 명령을 받은 자가 원상회복을 하지 아니하면 「행정대집행법 」에 따른 행정대집행에  따라 원상회복을 할 수 있다.

 

 

 

정답: ②

도시 . 군계획시설사업이 같은 도의 관할 구역에 속하는 둘 이상의 시 또는 군에 걸쳐 시행되는 경우에는 서로 협의를 하여 정하고 협의가 이루어지지 않으면 도지사가 시행자를  지정한다. 

 

 

 

 

 

 

 

국계법에서 개인적으로 가장 어려운 건 수립권자, 승인권자 외우는 것이었는데, 여러분은 어떠신가요?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