첫만남 이용권은 2022년부터 출생한 아동에게 지급되는 200만 원의 바우처로, 생애초기 아동양육에 따른 경제적 부담을 경감하기 위해 시행하는 제도입니다.

♥ 지원대상
2022년 1월 1일 이후 출생아로 출생 신고되어 정상적으로 주민등록번호를 부여받아야 지원이 됩니다.
♥ 지원금액
출생아동 당 200만 원의 이용권을 1회 지급합니다.
-- 출생 순위, 다태아(쌍둥이) 등에 상관없이 출생아동 1인당 200만 원
♥ 지급방식
-- 국민행복카드 이용권(포인트) 지급을 원칙으로 하되, 부득이한 경우 예외를 인정합니다.
1. 원칙: 바우처
-- 바우처 신청 시 등록한 1개 카드사의 국민행복카드에 이용권(포인트) 지급합니다.
'임신 . 출산 진료비' 수급 등을 위해 국민행복카드를 보유하고 있는 경우에 기존카드에 지급 가능합니다.
2. 예외: 현금
① 수급아동이 「아동복지법 」 제52조 제1항 1호의 아동양육시설 or 같은 항 제4호의 공동생활가정에서 보호조치되고 있는 경우로 지자체(또는 시설)에서 출생신고가 이루어지는 아동에게는 '디딤씨앗통장'으로 현금 지급이 가능합니다.
-- 가정위탁 보호 아동의 경우 위탁가정 소재지 시군구에서 보호자인 위탁부모(또는 예비 양부모)의 국민행복카드로 첫만남이용권 지급합니다.
(아동명의의 디딤씨앗통장으로 지급을 원하면 해당 계좌로 현금입금이 가능합니다.)
② 출생아동이 보호자가 수형자인 경우로 수형시설 내 양육으로 수감기간 동안 신청한 경우 아동복지심의위원회의 심의를 거쳐 그 보호자 명의의 통장에 현금으로 입금이 가능합니다.
,

♥ 사용기간
1. 사용가능시작일(이용권 지급일) -- 포인트 생성일
기존에 발급받은 국민행복카드가 있는 경우 추가 발급 없이 시군구청에서 지급 결정을 한 익일에 추가 발급 없이 포인트 생성됩니다.
-- 신규 카드 발급일 경우 시군구청의 지급 결정이 있고 금융기관에서 카드가 발급되어 보호자가 사용 등록을 한 후 포인트가 생성됩니다.
2. 사용 종료일 : 아동 출생일(주민등록일상 생년월일)로부터 1년
-- 사용 기간 내 사용하지 않은 지급금 포인트는 사용종료일 후 자동 소멸합니다.
-- 다만, 시설업소아동 등이 디딤씨앗통장으로 현금 지급받은 경우는 제외됩니다.
-- 지급시작 시기가 2022년 4월 1일부터이므로, 예외적으로 2022년 1월 ~3월생의 경우 2022년 4월 1일부터 2023년 3월 31일까지 사용 가능합니다.
♥ 사용처
유흥업종 사행업종, 마시지 등 위생업종(이미용실 제외), 레저업종, 성인용품 등 기타 업종 등, 면세점 등을 제외한 전 업종(온라인 구매 포함)에서 사용 가능합니다.
♥ 사용방법
1. 매장방문 구매: 첫만남이용권이 발급된 국민행복카드로 결제 및 포인트 차감합니다.
-- 바우처 지원금액을 초과하여 구매하는 경우에, 초과분은 이용자에게 직접 청구합니다.
2. 온라인 구매: 육아용품 등을 온라인상에서 상품구매 후 결제 및 포인트 차감합니다.
-- 단 , 전자상거래상품권 구매는 불가능합니다.
♥ 신청권자
아동의 친권자. 양육권자 . 후견인, 그 밖의 사람으로서 아동을 사실상 보호 . 양육하고 있는 사람
♥ 신청기간
신청기간은 별도로 없으나, 사용기간(아동출생일로부터 1년)을 고려하여 사용종료일 이전에 신청하여야 합니다.
-- 이용권 지급신청일로부터 30일 이내에 지급결정이 이루어지고, 신규로 국민행복카드발급을 받기 위하여 시간이 필요하므로 사용종료일 이전에 여유 있게 신청을 하여야 합니다.
♥ 신청방법
1. 해당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 직접 방문
2. 복지로 홈페이지 www.bokjiro.go.kr
3. 정부 24 www.gov.kr
정부24
www.gov.kr
♥ 처리절차
1. 초기 상담 및 서비스 신청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서비스 신청을 접수합니다.
2. 대상자 통합조사 및 심사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서비스에 대한 조사 및 심사를 진행합니다.
3. 대상자 확정
시군구청에서 서비스 지급을 위한 대상자를 결정합니다.
4. 이의 신청 접수
이의가 있는 경우, 시군구청에 이의 신청할 수 있습니다.
5. 서비스 지원
시군구청에서 대상자에게 서비스를 지급합니다.
6. 서비스 사후 관리
읍면동 행정복지센터에서 서비스 제공 이후 대상자의 상황 관련 사항을 관리합니다.
♥ 궁금한 점
보건복지상담센터 129
보건복지부 콜센터 http://www.129.go.kr
저출산으로 인한 인구 감소가 심각한 상황에서 더없이 좋은 정책인 것 같습니다. 해당되는 사람들은 꼭 신청하셔요,^^
'놓치면 안 될 정보' 카테고리의 다른 글
편의점 CU, 페퍼저축은행과 손잡고 최고 연 6% 적금 판매 (0) | 2023.05.24 |
---|---|
개인정보 유출로 명의도용 당한 전화번호 확인 및 차단은 엠세이퍼!!! (0) | 2023.05.23 |
서울시 2023년 '희망두배 청년통장', 1만 명 신청 접수! (0) | 2023.05.21 |
일회용품도 줄이고/ 선물도 받고 / '일당백 챌린지' 이벤트 (0) | 2023.05.19 |
#2. 국민체력 100 / 스포츠 활동 인센티브 알아보기 (0) | 2023.05.1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