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을 알아가다/자격증 공부

(연도별) 2020년 31회 공인중개사 시험 부동산학개론 11번 ~ 15번 기출문제 및 정답과 해설

늘 푸른 돈나무 2023. 8. 16. 22:39

202031회 공인중개사 자격시험 1차 과목 부동산학개론 11~ 15번까지 기출문제 및 정답과 해설입니다.

 

 

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공인중개사 부동산학개론

 

 

 

11. 다음은 거미집이론에 관한 내용이다. (   )에 들어갈 모형형태는?(단, X축은? 수량, Y축은 가격을 나타내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절댓값이 공급의 가격탄력성의 절댓값보다 크면   ) 이다.

 

수요곡선의 기울기가 절댓값이 공급곡선의 기울기의 절댓값보다 크면 (     )이다.

 

 

 

①ㄱ: 수렴형   : 수렴형       : 수렴형    : 발산형        ③ㄱ: 발산형    : 수렴형

 

④ㄱ: 발산형   : 발산형       : 발산형    : 순환형

 

 

 

정답:  

수요의 가격탄력성의 절댓값이 공급의 가격탄력성의 절댓값보다 크면 수렴형  )이다.

 

수요곡선의 기울기의 절댓값이 공급곡선의 기울기의 절댓값보다 크면 (   발산형  )이다.

 

 

탄력성과 기울기는 반비례한다.

 

 

 

 

12. 부동산 경기순환과 경기변동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부동산 경기변동이란 부동산시장이 일반경기변동처럼 상승과 하강 국면이 반복되는 현상을 말한다.

 

부동산경기는 일반경기와 같이 일정한 주기와 동일한 진폭으로 규칙적이고 안정적으로 반복되며 순환된다.

 

부동산 경기변동은 일반경기변동에 비해 저점이 깊고 정점이 높은 경향이 있다.

 

부동산경기는 부동산의 특성에 의해 일반경기보다 주기가 더 길 수 있다.

 

회복시장에서 직전국면 저점의 거래사례가격은 현재 시점에서 새로운 거래가격의 하한이 되는 경향이 있다.

 

 

 

정답:

부동산경기는 일반경기변동에 비해 변동주기의 기간이 2배 정도 길고 진폭도 더 크다. 이것은 부동산경기가 일반경기에 비해 둔감하게 반응하여 타성기간이 길기 때문이다.

 

 

 

 

 

13. 정부의 부동산시장 직접개입 유형에 해당하는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토지은행       . 공영개발사업        . 총부채상환비율(DTI)       . 종합부동산세

 

. 개발부담금   . 공공투자사업

 

 

①ㄱ, ,        ,       ③ㄷ, ,        , ,       ⑤ㄹ, ,

 

 

 

 

정답  토지은행, 공영개발, 공공투자사업

 

@ 직접적 개입수단

토지은행제도(토지비축제도)

공영개발 시 협의매수 또는 공용수용

공공택지 개발.. 분양

공공임대주택 공급

임대료 규제 또는 분양가 규제

●도시 재개발. 신도시 개발

 

 

@간접적 개입

취득세

종합부동산세

개발부담금

담보비율(LTV)  총부채상환비율(DTI)  

 

 

 

 

14.  다음 중 리카도(D. Ricardo)의 차액지대론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 지대 발생의 원인으로 비옥한 토지의 부족과 수확체감의 법칙을 제시하였다.

 

. 조방적 한계의 토지에는 지대가 발생하지 않으므로 무지대 (無地代) 토지가 된다.

 

. 토지 소유자는 토지 소유라는 독점점 지위를 이용하여 최열등지에도 지대를 요구한다.

 

. 지대는 잉여이기에 토지생산물의 가격이 높아지면 지대가 높아지고 토지생산물의 가격이 낮아지면 지대도 낮아진다.

 

①ㄱ,        ②ㄴ,        ③ㄱ, ,          , ,         , ,

 

 

 

정답

. 경작되고 있는 토지 가운데 생산성이 가장 낮은 토지를 한계지 또는 최열등지라 하며 한계지는 지대가 발생하지 않는다.

 

 

 

 

15. 주택의 여과과정(filtering process)과 주거분리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주택의 하향 여과과정이 원활하게 작동하면 저급주택의 공급량이 감소한다.

 

저급주택이 재개발되어 고소득가구의 주택으로 사용이 전환되는 것을 주택의 상향 여과과정이라 한다.

 

저소득가구의 침입과 천이 현상으로 인하여 주거입지의 변화가 야기될 수 있다.

 

주택의 개량비용이 개량 후 주택가치의 상승분보다 크다면 하향 여과과정이 발생하기 쉽다.

 

여과과정에서 주거분리를 주도하는 것은 고소득가구로 정(+)의 외부효과를 추구하고 부(-)의 외부효과를 회피하려는 동기에서 비롯된다.

 

 

 

정답:

하향여과란 상위계층이 살던 주택을 하위계층이 사용하는 현상이다

 

주택의 하향여과는  임대료 보조 등 소득 증가로 인해 저가주택의 수요가 증가하여 저가주택 임대료가 상승하므로 고가주택시장으로부터 하향여과가 발생한다.

 

 

 

 

파이팅!!!