부동산을 알아가다

분양가 고공?... 분양가상한제 아파트 기본형 건축비 ㎡당 197만 6천원!

늘 푸른 돈나무 2023. 10. 10. 15:05

국토교통부 9월 15일  분양가상한제 주택에 적용되는 기본형 건축비를 올해 3번 째로 인상한 것을 고시하였습니다. 

 

분양가상한제 기본형건축비
분양가상한제 기본형건축비

 

 

▶ 기본형 건축비 정기적으로 고시 

주택의 분양가는  택지비 +기본형 건축비 + 건축가산비. 택지가산비 등으로 구성되며, 기본형 건축비는 주택의 분양가의 구성항목 중 하나입니다.

 

정부는  분양가상한제가 적용되는 기본형 건축비를   6개월마다 정기적(3월 1일과 9월 15일)으로 고하고 있습니다.

 

 

기본형 건축비 인상률 

2022년에도  3번에 걸쳐  6.7%가 상승한 데 이어

올해도 지난 2월엔  레미콘 가격 인상을 반영해서 1.1%,

3월에 2.05%,

9월에 1.7%는 콘크리트와 같은 자재비와 노무비 인상을 반영한 것이라고 합니다.

 

 

 

기본형 건축비 인상의 여파

기본형 건축비 인상은 분양가상한제 지역과 주변 주택의 분양가 상승을 유발할 수 있습니다.

 

이미 민간 아파트 분양가는 하늘을 찌를 듯이 치솟고 있습니다. 분양가상한제 폐지로 원자재 가격 인상과 여러 가지 마진을 대거 분양가에 포함시키는 게 가능해졌기 때문입니다.

 

하지만 실제 분양가격은 분양 가능성과 주변 시세 등 여러 여건을 고려해서 결정하는 것이기 때문에  기본형 건축비가 분양가에 미치는 영향은 기본형건축비 인상분보다는 낮다는 게 국토부의 설명이기도 합니다.

 

 

 

2023.09.13 - [부동산을 알아가다] - 전국에서 제일 싼 아파트 순위 5, 가장 비싼 아파트, 평당 평균 분양가?

 

전국에서 제일 싼 아파트 순위 5, 가장 비싼 아파트, 평당 평균 분양가?

12일 부동산 빅데이터업체인 아실에 따르면 올해 1월 1일부터 8월 31일까지 거래된 전국의 아파트 중 가장 싼 아파트는 전북 익산시 낭산면의 '태양아파트'라고 합니다. 상상 그 이상인 아파트값

bluemoon03.tistory.com

 

 

 

분양가상한제 규제지역

현재 분양가상한제 대상 규제지역은 서울 강남 3구, 용산구와 수도권 공공택지에서 나오는 아파트가 해당합니다.

 

 

2023.04.10 - [부동산을 알아가다] - 분양가상한제와 '1.3 규제 완화 대책' 알아보기

 

분양가상한제와 '1.3 규제 완화 대책' 알아보기

분양가상한제가 ‘1·3 규제 완화 대책’으로 서울의 강남, 서초, 송파, 용산구를 제외하고 규제가 완화되어 앞으로 민간택지 내 신규 공급주택은 이 지역 외에는 분양가상한제를 적용받지 않습

bluemoon03.tistory.com

 

 

기본형 건축비 기준

이번 고시의 기본형 건축비의 기준은  16층 ~ 26층 이하, 전용면적 60 ~85㎡ 지상층 기준입니다.

 

3월 1일 고시된 194만 3천 원에서 197만 6천 원으로 1.7% 상승입니다.

 

참고로 하반기 건설업 하루평균 임금은 26만 5,516원으로 상반기에 비해 3.62% 올랐다고 합니다.

 

 

아파트
진주시 아파트

 

 

 

23년 하반기 적용 건설업 임금실태 조사 결과를 알고 싶으시면  대한건설협회 사이트를 방문하시면 되겠습니다. ( http://www.cak.or.kr)

보도자료 | 뉴스ㆍ공고 | [23.9.1] 2023년 하반기 적용 건설업 임금실태조사결과 공표 

 

 

 

기본형 건축비 적용시기

9월 15일 개정된 고시는 2023년 9월 15일 이후 입주자모집 승인을 신청하는 단지부터 적용이 됩니다.

이것은 건설 자재비, 인건비 인상 등 시장 여건 변화를 공사비에 반영할 수 있도록 한 것입니다.

 

 

<기본형 건축비 고시 내용 (2023년 9월 15일)>

지상충건축비
지상층건축비(출처:국토교통부)

 

면적별. 층수별 지상층 건축비
층수별, 면적별 지상층 건축비(국토교통부)

 

면적별 지하층건축비
면적별 지하층 건축비(국토교통부)

 

 

점점 멀어지는 내 집 마련의 꿈...

국토교통부는 안전하고 우수한 품질의 주택 공급을 위해 건설자재 가격 변동 등을 반영하여 기본형 건축비를 합리적으로 조정해 가면서, 무주택 서민 실수요자의 주거안정을 지원을 할 것이라고 하지만, 서울 . 수도권 아파트에서 국민 평형이라는 전용면적 84㎡ 분양가가 10억을 뛰어넘은 지 가 오래되었으니...  "그림의 떡"이라고나 할까?