서울시는 8월 28일부터 누리집을 통해 '2023년 ~ 2025년'까지 3년간의 아파트 입주예정 실적 및 전망'을 공개한다고 밝혔습니다.
지난 2월 아파트 입주예정물량과 사업장 목록을 발표한 이후 두 번째 발표로 올 상반기 서울 시내 아파트는 1만 7천 호가 입주된 것으로 파악이 되었다고 합니다.
하반기는 2만 3천 호가 입주할 것으로 예상되어 지난 2월 예측 물량보다 약 6천 호가 늘어나 올해 총 4만 호가 입주할 것으로 전망을 했습니다.
서울시의 입주물량 예측은 민간 부동산업체 등이 자체 조사한 결과를 바탕으로 입주 예측정보를 제공하며 부동산 시장과 시민들에게 혼란을 주는 것을 막고, 주택 구입이나 이사를 앞둔 시민들이 구체적인 계획과 준비를 할 수 있도록 돕기 위한 차원에서 2023년부터 아파트 입주물량을 제공하기로 했습니다.
ㅣ2023년 입주 예정물량
2022년의 입주물량 3만 5천 호와 대비 2023년은 약 5천 호가 늘어난 4만 호입니다.
올해 하반기 아파트 입주 예정물량은 재개발, 재건축 등과 같은 정비사업을 통한 공급과 함께 역세권 주택사업. 청년안심주택 . 공공주택 등 서울시가 파악하고 있는 비정비사업까지 포함한 물량이라고 합니다.
ㅣ향후 3년간 입주물량 전망
2024년 2만 8천 호, 2025년 6만 1천 호가 예상물량이며 , 연평균 4만 3천 호가 공급될 것이라고 합니다.
이것은 2022년 대비 연평균 약 8천 호가 넘는 것으로 주택 공급이 차츰 안정화가 되어가는 것으로 예상했습니다.
ㅣ지난 2월 예측과 차이 나는 이유
하지만 이번 자료가 지난 2월 서울시가 발표한 자료와 일부 차이가 있는 것은 대규모 정비사업장의 입주예정 시기가 조정되고, 세대수가 소폭으로 변경된 사업장이 있었기 때문이라고 파악했습니다.
▶개포주공 1단지 입주예정 물량이 6,702세대 중 조합원 5,045세대 입주시기가 2024년 1월에서 11월로 앞당겨지면서 올해 입주량 증가에 영향을 주었다고 합니다.
▶신반포 4 지구 3,308세대 입주도 2024년에서 2025년으로 연기되면서 내년 총 1만여 세대가 감소했지만, 2025년 둔촌주공 12,032세대와 장위 4 구역 2,840세대 등 대단지 입주가 집중되어 있어 '2024년 공급물량에는 큰 영향은 없을 것이라고 전망을 했습니다.
ㅣ'2023년 ~ 2025년도 아파트 입주예정 실적 및 전망 알아보기
▶서울시 누리집
서울특별시 - 동행·매력 특별시 서울
동행·매력 특별시 서울의 주요뉴스, 시민참여, 주요서비스, 자주찾은서비스, 시장실, 분야별정보, 새소식등의 정보제공
www.seoul.go.kr
▶ '분야별 정보' → ' 주택 ' → '주택 . 건축 자료실 ' → '주택통계정보' 에서 열람 및 내려받기를 하면 됩니다.
ㅣ입주 예정 단지의 세부정보 제공
서울시는 28일 입주예정 물량뿐 아니라 주택사업 유형, 위치 정보, 공급세대수, 준공예정년도 등 아파트의 구체적인 정보를 할 수 있는 '입주예정 단지목록'과 '입주예정 단지 위치도'도 함께 제공을 합니다.
또한 총 세대수 외에도 임대 및 분양세대수, 입주예정시기(월), 아파트 단지명도 제공한다고 하니 주택을 구입하거나 이사를 계획하는 시민들에게 유용하게 사용이 될 것이라 생각이 됩니다.
'부동산을 알아가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미혼 출산 가구도 '신생아 특별공급', '신생아 특례대출 최대 5억! (0) | 2023.09.03 |
---|---|
'마이홈' 앱에서 청년 주거정책을 모두 알 수 있어요! (0) | 2023.08.31 |
전세사기 피해자를 위한 경. 공매 지원센터 알아보기 (0) | 2023.08.20 |
하반기 후분양 아파트 현황(상도 푸르지오 클라베뉴, 트리우스 광명 등) (3) | 2023.08.19 |
주택(아파트) 선분양, 후분양제도의 장점과 단점 비교해 보기 (0) | 2023.08.17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