올해 10월부터는 현재의 주택연금 가입기준인 주택의 공시지가가 9억에서 3억 원이 늘어난 12억으로 상향 조정된다고 합니다.
▶먼저, 한국주택금융공사의 2007년에 도입된 주택연금제도의 2023년 2월 말 기준, 주택연금 이용현황을 한 번 살펴보겠습니다.
[주택연금 이용현황 ]
①가입자 평균 연령: 72세
②평균 월지급액: 116만 원
③평균주택가격: 3억 6천6백만 원
④가입자수(부부 중 연소자 기준) :109,423명
⑤연간 누적가입자수(최초가입 시점기준)
가입연도 | 가입자 수 (명) | 가입연도 | 가입자 수(명) | 가입연도 | 가입자 수(명) |
2007년 | 515 | 2013년 | 17,595 | 2019년 | 71,034 |
2008년 | 1,210 | 2014년 | 22,634 | 2020년 | 81,206 |
2009년 | 2,334 | 2015년 | 29,120 | 2021년 | 92,011 |
2010년 | 4,350 | 2016년 | 39,429 | 2022년 | 106,591 |
2011년 | 7,286 | 2017년 | 49,815 | ||
2012년 | 12,299 | 2018년 | 60,052 |
▶주택연금 도입 첫 해인 2007년에 515명이었으나 2021년엔 92,011명, 그리고 2022년엔 106,591명으로 누적 가입자수가 10만 명을 넘었습니다.
⑥지급방식별 선택비율
구분 | 종신지급방식 | 종신혼합방식 | 확정혼합방식 | 사전가입방식 | 대출상환방식 | 우대지급방식 |
비율(%) | 65.05% | 23.21% | 1.11% | 0.59% | 3.38% | 6.66% |
▶ 평생 동안 매월 일정한 금액을 받는 가입자가 65.05%로 가장 많습니다.
⑦지급유형별 선택비율
구분 | 정액형 | 정기증가형 | 초기증액형(10년) | 초기증액형(7년) | 초가증액형(5년) | 초기증액형(3년) | 증가형 (폐지) |
감소형 (폐지) |
전후후박형(폐지) |
비율(%) | 69.9% | 0.04% | 4.98% | 0.51% | 0.63% | 0.28% | 0.17% | 3.58% | 19.9% |
▶매월 동일한 금액을 받는 가입자가 69.9%로 가장 높습니다.
[한국주택금융공사 발표내용]
▶7월 24일 한국주택금융공사는 올 상반기 주택연금 신규 가입 건수는 8109건으로 지난해 같은 기간의 6923건보다 17.1% 가 늘어나 사상 최대치를 기록했다고 합니다.
▶2022년 주택연금 가입자수는 1만 4580건으로 2021년 1만 805건에 비해 34.9%가 증가했습니다.
▶반면, 주택연금 해지 건수는 작년 6월의 1916건보다 올 상반기 전체 1633건으로 14.8% 감소했다고 합니다.
이렇듯 신규 가입자는 늘고 해지 건수가 줄어드는 이유는 전반적인 부동산 시장의 침체로 하반기에는 주택 가격이 더 하락할 것이라고 예상하는 장년층 이상의 주택 소유자들이 많은 것이라고 해석하고 있습니다.
▶주택연금 지급액을 보면 작년 8,739억 원이었으나 올 상반기에만 1조 1,857억 원으로 작년대비 35.7%가 증가하여 사상 처음으로 1조 원을 넘었다고 합니다.
▶전체 지급액도 작년 상반기 6조 9858억 원 보다 27% 늘어난 8조 8692억 원으로 집계되어 9조 원에 달했습니다.
▶통계청에 따르면 지난해 기준 국내 65세 이상 고령인구는 901만 8000명으로 사상 처음 900만 명을 넘겼다고 합니다.
고령화가 심화되면서 주택연금이 노후 준비 수단으로 관심을 끌기 시작한 점도 가입 증가 요인이라고 합니다.
[올 10월, 주택연금 가입기준 9억에서 12억으로 상향]
▶올 10월부터는 지금의 주택연금 가입기준인 주택의 공시지가 9억에서 12억으로 올라갑니다.
주택연금 가입 기준이 완화됨에 따라 가입자는 더 늘어날 것이라고 전망을 하고 있습니다.
만 55세 이상 주택 소유자가 집을 담보로 제공해 매달 생활자금을 연금 형태로 지급받는 주택연금은
매월 수령액이 가입 당시 평가한 주택의 공시지가를 기준으로 정해지기 때문에, 통상 집값이 떨어질 때는 가입 시기를 당겨 신청하는 게 유리한 것입니다.
[주택연금에 대해 더 알아보기]
주택연금 장.단점 및 가입요건 등을 알아봅시다.
주택연금은 자신이 소유한 주택을 담보로 일정 기간 동안 일정한 금액의 연금을 지급받는 금융상품으로 역모기지론에 해당합니다 ☞모기지론은 부동산을 취득할 때 그 부동산을 담보로 금융기
bluemoon03.tistory.com
주택연금이란 | 주택연금이란 | 주택연금 소개 | 주택연금 | 한국주택금융공사
이미지 가입요건 부부 중 1명이 만55세 이상이고 부부합산 공시가격 9억원 이하 주택을 소유하신 분 (아래 ①~⑤ 참조) 초기보증료 주택가격의 1.5%(대출상환방식의 경우 1.0%)를 최초 연금지급일에
hf.go.kr
'부동산을 알아가다' 카테고리의 다른 글
주택(아파트) 선분양, 후분양제도의 장점과 단점 비교해 보기 (0) | 2023.08.17 |
---|---|
국토교통부가 발표한 '집값 실거래가 띄우기' 대표적 불법 사례 9가지 (0) | 2023.08.11 |
주택연금 장.단점 및 가입요건 등을 알아봅시다. (0) | 2023.07.29 |
상위 100대 건설사, '23년 2분기 건설사고 사망자가 가장 많은 곳은? (1) | 2023.07.27 |
(청년) 전세보증금반환보증 보증료, 최대 30만 원 환급 받는 방법!!! (0) | 2023.07.26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