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2년 33회 공인중개사 시험 1차 과목 부동산학개론 시험 6번 ~ 10번까지 기출문제 및 정답과 해설입니다.
저는 인강으로 김하선 교수님의 강의를 들었습니다. 수요 증가는 인기짱!이라는 말이 제일 좋았습니다. ㅋㅋ
6. A지역 단독주택 시장의 균형가격과 균형거래랑의 변화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단, 수요곡선은 우하향하고 공급곡선은 우상향 하며, 다른 조건은 동일함)
①수요가 불변이고 공급이 감소하는 경우, 균형가격은 하락하고 균형거래량은 감소한다.
②공급이 불변이고 수요가 증가하는 경우, 균형가격은 상승하고 균형거래량은 감소한다.
③수요와 공급이 동시에 증가하고 공급의 증가폭이 수요의 증가폭보다 더 큰 경우, 균형가격은 상승하고 균형거래량은 증가한다.
④수요와 공급이 동시에 감소하고 수요의 감소폭이 공급의 감소폭보다 더 큰 경우, 균형가격은 하락하고 균형거래량은 감소한다.
⑤수요는 증가하고 공급이 감소하는 데 수요의 증가폭이 공급의 감소폭보다 더 큰 경우, 균형가격은 상승하고 균형거래량은 감소한다.
정답: ④ 수요의 감소폭이 크다는 것은 인기가 없으니까 균형가격은 하락하고 균형거래랑도 하락한다.
① 공급이 감소하면 물건이 귀하니까 균형가격은 상승하고 균형거래량은 감소한다.
② 수요 증가는 인기 짱! 이니까 균형가격은 상승하고 거래량은 증가한다.
③ 공급의 증가폭이 크면 물건이 흔하니까 균형가격은 하락하고 균형거래량은 증가한다.
⑤ 수요의 증가폭이 크니까 균형가격은 상승하고 균형거래량도 증가한다.
7. 부동산경기변동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은?
①상향시장 국면에서는 부동산가격이 지속적으로 하락하고 거래량은 감소한다.
②후퇴시장 국면에서는 경기상승이 지속적으로 진행되어 경기의 정점에 도달한다.
③하향시장 국면에서는 건축허가신청이 지속적으로 증가한다.
④회복시장 국면에서는 매수자가 주도하는 시장에서 매도자가 주도하는 시장으로 바뀌는 경향이 있다.
⑤안정시장 국면에서는 과거의 거래가격을 새로운 거래가격의 기준으로 활용하기 어렵다.
정답: ④
① 상향시장은 호황일 때니까 부동산 가격은 지속적으로 상승한다.
② 후퇴시장은 불경기를 말하며, 경기의 정점에 도달한다는 것은 상향시장을 말하는 것이다.
③ 하향시장은 불황인데 건축허가신청이 증가한다는 것은 틀린다.
⑤ 안정시장에서 과거의 거래가격은 새로운 거래가격의 기준이 된다.
8. A지역 아파트시장에서 공급은 변화하지 않고 수요는 다음 조건과 같이 변화하였다. 이 경우 균형가격(ㄱ)과 균형거래량(ㄴ)의 변화는? (단, P는 가격, Qp1, Qp2는 수요량, Qs는 공급량, X축은 수량, Y축은 가격을 나타내고 가격과 수량의 단위는 무시하며, 주어진 조건에 한함)
○수요함수: Qp1 = 120 - 2P (변화 전) →
Qp2 = 120 - 3/2 P (변화 후)
○ 공급함수 : Qs = 2 P - 20
① ㄱ: 5 상승 ㄴ: 5 증가 ② ㄱ: 5 상승 ㄴ: 10 증가 ③ㄱ: 10 상승 ㄴ: 10 증가
④ ㄱ: 10 상승 ㄴ: 15 증가 ⑤ ㄱ: 15 상승 ㄴ: 15 증가
정답 : ②
균형이란 어떤 물건의 수요량과 그 물건의 공급량이 일치하는 상태를 말한다.
변화 전
수요함수 120 - 2P = 공급함수 2P - 20
120 + 20 = 2P + 2P
140 = 4P P= 35(변화 전 균형가격)
수요함수나 공급함수에 P를 대입시키면 120 - (2 × 35) =50 or (2 × 35) - 20 = 50(변화 전 균형량)
변화 후
120 - 1.5P = 2P -20
120 + 20 = 2p + 1.5P
140 = 3.5P P= 40(변화 후 균형가격)
(2 × 40) - 20 = 60 ( 변화 후 균형량)
∴ 균형가격은 5 상승, 균형량은 10 증가
9. 부동산시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 (단, 다른 조건은 동일함)
①부동산시장에서는 정보의 비대칭성으로 인해 부동산가격의 왜곡현상이 나타나기도 한다.
②부동산시장은 장기보다 단기에서 공급의 가격탄력성이 크므로 단기 수급조절이 용이하다.
③부동산시장은 규모, 유형, 품질 등에 따라 세분화되고, 지역별로 구분되는 특성이 있다.
④부동산시장에서는 일반적으로 매수인의 제안가격과 매도인의 요구가격 사이에서 가격이 형성된다.
⑤부동산시장은 불완전하더라도 할당효율적일 수 있다.
정답 : ②
부동산시장은 수요나 공급 둘 다 단기보다 장기에서 가격탄력성이 크다
10. 허프(D. Huff)모형에 관한 설명으로 옳은 것을 모두 고른 것은? (단, 다른 조건은 동일함)
ㄱ. 어떤 매장이 고객에게 주는 효용이 클수록 그 매장이 고객들에게 선택될 확률이 더 높아진다는 공리에 바탕을 두고 있다.
ㄴ. 해당 매장을 방문하는 고객의 행동력은 방문하고자 하는 매장의 크기에 비례하고, 매장까지의 거리에 반비례한다.
ㄷ. 공간(거리) 마찰계수는 시장의 교통조건과 매장물건의 특성에 따라 달라지는 값이며, 교통조건이 나빠지면 더 커진다.
ㄹ. 일반적으로 소비자는 가장 가까운 곳에서 상품을 선택하려는 경향이 있다.
ㅁ. 고정된 상권을 놓고 경쟁함으로써 제로섬(zero-sum) 게임이 된다는 한계가 있다.
①ㄱ, ㄴ ②ㄱ, ㄷ, ㄹ ③ ㄷ, ㄹ, ㅁ ④ㄱ, ㄴ, ㄷ, ㅁ ⑤ㄱ,ㄴ ㄷ, ㄹ, ㅁ
전부다 정답 처리 되었습니다.
계산 문제 풀이가 제대로 이해가 되도록 했는지 걱정됩니다. 직접 타이핑하다 보니 잘 안 되는 게 있어서...
파이팅 !
'부동산을 알아가다 > 자격증 공부' 카테고리의 다른 글
(연도별) 2022년 33회 공인중개사 시험 부동산학개론 기출 16번 ~20번 문제 및 정답과 해설 (0) | 2023.06.07 |
---|---|
(연도별) 2022년 33회 공인중개사 시험 부동산학개론 기출11번 ~15번 문제 및 정답과 해설 (0) | 2023.06.06 |
(연도별) 2022년 33회 공인중개사 시험 부동산학개론 기출 1번 ~ 5번 문제 및 정답과 해설 (0) | 2023.06.05 |
(연도별) 2018년 29회 공인중개사 시험 민법 기출 35번 ~40번 (민사특별법)문제 및 정답과 해설 (0) | 2023.06.05 |
(연도별) 2018년 29회 공인중개사 시험 민법기출 30번 ~34번 문제 및 정답과 해설 (계약법) (0) | 2023.06.04 |