2021년 32회 공인중개사 민법 기출문제 중 민사특별법 파트 35번 ~40번까지 6문항입니다. 35. 주택임대차보호법상의 대항력에 관한 설명으로 틀린 것은?(단, 일시사용을 위한 임대차가 아니고 임차권 등기가 이루어지지 아니한 경우를 전제하며 다툼이 있으면 판례에 따름) 가. 임차인이 타인의 점유를 매개로 임차주택을 간접점유하는 경우에도 대항요건인 점유가 인정될 수 있다. 나. 임차인이 지위를 강화하고자 별도로 전세권 설정등기를 마친 후 주택임대차보호법 상의 대항요건을 상실한 경우, 주택임대차보호법 상의 대항력을 상실한다. 다. 주민등록을 마치고 거주하던 자기 명의의 주택을 매도한 자가 매도와 동시에 이를 다시 임차하기로 약정한 경우, 매수인 명의의 소유권 이전등기 여부와 관계없이 대항력이 인정된다. ..